[대선상황실] 이재명? 윤석열?…널뛰는 대선 여론조사, 어떻게 읽을까<br /><br />이제 대선이 47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하루가 멀다고 여야 대선 후보들의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집니다.<br /><br />대선상황실, 오늘은 널을 뛰기도 하는 여론조사 결과를 대체 어떻게 봐야 할지 '여론조사 읽는법' 짚어봅니다.<br /><br />먼저 오늘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입니다.<br /><br />이재명 34%, 윤석열 33%, 안철수 17%, 심상정 3%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와 비교하면 이재명 후보가 3%포인트 하락, 윤석열 후보는 2%포인트 상승해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안철수와 심상정 후보 지지율은 한 주간 변동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박빙이긴 하지만 이재명 후보가 1위다, 앞섰다고 볼 수 있을까요? 아닙니다.<br /><br />정례 여론조사의 조사대상은 보통 1,000명입니다.<br /><br />오차 범위는 ±3.1%포인트, 즉 위아래로 각각 3.1%포인트이기 때문에,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6.2%포인트보다 작으면 그 차이에 큰 의미를 두지 말라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저희가 오늘 살펴볼 건 아래 이 작은 글씨, 여론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 방법입니다.<br /><br />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얘기부터 들어봅니다.<br /><br /> "대선은 가장 투표율이 높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주의 깊게 봐야 될 것은 ARS가 아니라 저는 면접원 여론조사라고 생각합니다. 그런데 거기를 보면 두 분 다 35% 정도에서 움직이지를 않고 있습니다. (제 지지율은 오르고 있는데…)"<br /><br />여론조사 방법을 왜 굳이 구분했을까요?<br /><br />여론조사 방법은 기계로 질문을 들려주면서 대답하도록 하는 ARS와 면접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물어보는 전화면접으로 나뉩니다.<br /><br />ARS가 아무래도 비용이 덜 들기 때문에 전화면접보다 많이 쓰입니다.<br /><br />ARS 전화가 오면 어떻게 하십니까? 바쁜데 바로 끊는 분 많으시죠?<br /><br />그래서 특정 후보 지지가 분명한 분들이 끝까지 성실하게 응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전화면접의 경우 냉정하게 끊기 어렵다 보니 중도층·유보층이 더 많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응답 비율도 더 높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여론에 좀 더 가까운 걸로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4개 여론조사 기관이 공동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하는 NBS 최근 조사 응답률은 26.5%, 역시 전화면접인 한국갤럽 응답률은 13.6%, 100% 휴대전화 ARS 방식인 KSOI의 응답률은 8.8%, 전화면접과 ARS를 섞어 쓰는 리얼미터는 7.6%로 차이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치권에선 ARS 조사에서 정치 고관여층의 여론이 먼저 나타나고, 정치에 관심 없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는 전화면접 조사는 좀 더 늦게, 보수적으로 나타난다고 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안철수 대표는 본인이 더 유리한 전화면접 여론조사에 주목해야한다고 하고 이준석 대표는 이런 말을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 "설 전까지 ARS조사에서는 (윤석열 후보가) 7~8% 격차를 가질 것 같고 면접 조사에서는 거의 대등한 수준이 나올 것 같다 이렇게 이야기했는데. 저 수치가 실제 근접한 것이죠."<br /><br />어떻게 전화를 거는지도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.<br /><br />성별, 지역별, 연령별 응답자 비율을 실제와 비슷하게 가져가야 더 정확하게 민심을 읽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과거 선거 여론조사는 대부분 유선전화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방식으로 2016년 총선 때 탈이 났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많은 여론조사 업체는 여당이던 새누리당이 150석 넘는 압승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민주당 123석, 새누리당 122석.<br /><br />여론조사의 무덤이라고 불렸던 선거입니다.<br /><br />그러다 2017년 1월 휴대전화 가상번호, 즉 안심번호를 활용하도록 공직선거법이 개정되면서 정확도가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이동통신 3사로부터 성별·연령·지역 등에 따른 안심번호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더 정밀하게 표본을 추출할 수 있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안심번호의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.<br /><br />통신3사에 가입돼 있지 않은 1천만명에 이르는 알뜰폰 가입자를 표본에 담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도입한 방법이 임의전화걸기.<br /><br />'010-○○○○-○○○○'안에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무작위로 넣어 여론조사를 돌리는 방법입니다.<br /><br />알뜰폰 가입자를 포함할 수 있지만 연령, 성별, 지역 정보를 거짓으로 응답해도 걸러낼 수 없는 건 단점입니다.<br /><br />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여기에 더해 어떤 정치성향을 가진 사람이 응답에 적극 참여했는지를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이재명 후보 33%, 윤석열 후보 34%인 갤럽 여론조사에선 표본 중 보수층 25% 중도 35% 진보층 23%로 보수·진보 차이가 2%포인트가량이었지만 이재명 36.2%, 윤석열 41.4%인 KSOI 여론조사에선 보수 35% 중도 35% 진보 24%로 보수층 응답률이 10%포인트 정도 더 높았습니다.<br /><br /> "ARS건 전화면접이건 응답자들의 정치적 성향이 서로 얼마만 한 균형을 이루고 있느냐…굉장히 큰 차이가 나면 당연히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죠. 여론조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응답자들이 평가한 자신의 정치적 성향, 그게 제일 중요합니다."<br /><br />유권자들이 이런 디테일을 하나하나 따져보기는 어려울 테니 흐름을 보는 게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 얘깁니다.<br /><br />확고한 지지후보가 없을 땐 '될만한 후보'를 찍는 경향도 나타나기 때문에 후보들은 여론조사를 의식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상대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행동과 언어들로 과도하게 떨어져서 곧 복귀될 거라고 예측했는데 그런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. 결국 미세한 박빙의 승부가 될 것이다…"<br /><br />막판까지 표심 예측이 유난히 어려울 거라는 이번 대선, 다른 의미로 '여론조사의 무덤'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?<br /><br />지금까지 대선상황실이었습니다.<br /><br />#이재명 #윤석열 #여론조사 #대선상황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